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1

미국 7월 소매판매 지수 상승과 주식시장 상승 2024.8.15일  미국 7월 소매판매 발표가 있었습니다. 소매판매와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발표 후  주식시장은 상승하였습니다. 미국 7월 소매판매 지수와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와 주식시장 반응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1. 미국 7월 소매판매 지수2024년 7월, 미국 상무부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1.0% 증가한 7,097억 달러에 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인 0.3% 증가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여전히 강력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소매판매 지수는 미국 경제의 주요 지표 중 하나로, 소비자 지출이 전체 경제 활동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경제의 건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소매판매의 증가는 경기 침체 우려를 완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 2024. 8. 16.
미국 2024.7월 CPI와 CORE CPI 현황 및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2024.8.14일 미국 7월 CPI와 CORE CPI 발표가 있었습니다. 미국 7월의 CPI와 근원 CPI 현황 및 평가에 대하여 살펴보고 향후 FED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7월 CPI 및 Core CPI 현황2024년 7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9% 상승했으며, 이는 지난 3월 이후 최저치입니다. 전월 대비로는 헤드라인 CPI가 0.2% 상승하여 전월의 0.1%에서 소폭 상승했습니다. Core CPI(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물가지수) 역시 전월 대비 0.2% 소폭 상승하였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는 전월 3.3% → 3.2%로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2. 주요 품목별 변화7월 CPI .. 2024. 8. 15.
2024년 6월의 산업활동동향과 2024년 7월의 수출입동향 최근 2024.6월 산업활동동향과 2024년 7월의 수출입동향이 발표되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최근 발표된 2024년 6월의 산업활동동향과 2024년 7월의 수출입동향에 대해 상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산업활동동향은 매월 말 통계청에서 전월의 동향을 발표하고 수출입동향은 매월 초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전월의 동향을 발표합니다. 즉, 6월 산업활동동향을 7월 말에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7월 수출입동향을 8월 초에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합니다. 1. 2024년 6월 산업활동동향2024년 6월, 한국의 산업활동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제조업 생산은 주요 업종의 실적 호조로 인해 견조한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서비스업도 회복세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전자 및 화학 제품의 생산 증가가 두드러졌습니다. 설.. 2024. 8. 11.
미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 은행 총 여신증가율과 경기침체 최근 미국의 향후 경기둔화 가능성에 대하여 많은 이야기들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미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 은행 총 여신증가율과 경기침체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 현재, 미국 경제는 다양한 지표들을 통해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 은행 총여신증가율 , 그리고 경기침체와 S&P500 지수 간의 상관관계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관심사입니다. 1.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미국의 가계부채는 GDP 대비 비율로 자주 분석됩니다.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기준 미국의 가계부채는 GDP의 71.5%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2023.4분기의 75.0%에서 약간 감소한 수치입니다.가계부채비율은 꾸준히 하락하고 있습니다. 2007년 금융위.. 2024.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