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경제

샘 올트먼, AI반도체 시장 재편을 위한 7조 달러 투자 계획

by 글로벌투자 2024. 2. 13.
반응형

샘 올트먼, AI반도체 시장 개편을 위한 7조달러 투자계획

 

최근 AI 반도체 시장은 엔비디아의 독점적인 지위에 의해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샘 올트먼, 오픈 AI의 CEO가 자체 AI 반도체 개발과 생산을 위한 7조 달러 규모의 자금 조달을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번 투자 계획은 AI 반도체 시장의 구조를 완전히 바꿀 수 있는 혁신적인 도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샘 올트먼은 어떤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전략을 펼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샘 올트먼은?

샘 올트먼은 오픈 AI의 CEO로서 AI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인물입니다. 오픈 AI는 2015년 비영리 AI 연구소로 출범해 2020년 사업 부문을 설립한 뒤 상업적인 거대 기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챗GPT라는 대화형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출시한 뒤 AI 붐을 이끌었으며, 현재 포춘 500대 기업의 92%가 오픈 AI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올트먼은 AI 반도체 시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AI 반도체 시장은 엔비디아의 GPU가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GPU는 그래픽 처리 유닛으로, 복잡하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 연산에 특화된 반도체입니다. AI의 핵심 부품으로 뽑히고 있는 GPU는 공급 부족으로 인해 가격이 매우 높습니다. 

 

샘 올트먼,  AI반도체 자체 개발 투자계획

이에 올트먼은 엔비디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AI 반도체 공급망을 재편하기 위해 자체 AI 반도체 개발추진하고 있습니다. 올트먼은 7조 달러 규모의 자금 조달을 목표로 투자자들과 만남을 이어가고 있으며, 아랍에미리트 (UAE) AI 기업 G42 및 중동 투자자, 영국 반도체 설계사 암 (ARM)을 소유하고 있는 일본 소프트뱅크그룹과 접촉하는 등 다각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올트먼은 천문학적인 투자금을 유치한 후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의 구조를 완전히 바꿀 수 있는 혁신적인 반도체를 설계하고, 외부 업체가 설계한 반도체 제품을 위탁받아 생산·공급하는 파운드리 (반도체 수탁생산) 증설을 위한 생산 시설을 건설할 계획입니다. 실제로 약 10개의 반도체 생산 시설을 건설한 후에는 파운드리 업체인 대만 TSMC에 운영을 맡길 계획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올트먼의 투자 계획은 AI 반도체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올트먼은 자체 AI 반도체를 개발함으로써 엔비디아의 GPU에 대한 대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올트먼은 자사의 AI 반도체를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다른 업체의 AI 반도체도 수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고객들의 선택권을 넓히고, AI 반도체의 표준화와 협업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올트먼은 AI 반도체의 생산과 공급을 위한 파운드리 시설을 증설하고, TSMC와 협력함으로써 AI 반도체의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 계획은 AI 반도체 시장의 경쟁력을 높이고, AI의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올트먼의 투자 계획은 AI 반도체 시장뿐만 아니라 AI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올트먼은 자체 AI 반도체 개발을 통해 일반인공지능 (AGI) 개발에 필요한 하드웨어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AGI란 인간의 지능과 동등하거나 뛰어난 AI를 의미합니다. 올트먼은 오픈 AI의 비전인 AGI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자체 AI 반도체는 그의 비전을 실현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또한 올트먼은 자사의 AI 반도체를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다른 업체의 AI 반도체도 수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AI 생태계의 다양성과 혁신을 촉진하고, AI의 민주화와 공유를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샘 올트먼의 7조 달러 투자 계획은 AI 반도체 시장 재편을 위한 야심찬 도전입니다. 올트먼은 엔비디아의 독점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고, AI 반도체의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AI 반도체의 표준화와 협업을 촉진하고, AI의 발전과 민주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올트먼의 투자 계획이 성공한다면, AI 반도체 시장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진입할 것이며, AI의 미래는 더욱 밝아질 것입니다.

 

 

엔비디아의 반응은?

업계에서는 엔비디아가 샘 올트먼의 투자 계획에 대해 우려하고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샘 올트먼이 자체 AI 반도체를 개발하고,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다른 업체의 AI 반도체도 수용하겠다고 밝힌 것은 엔비디아의 시장 지배력에 도전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또한 샘 올트먼이 AI 반도체의 생산과 공급을 위한 파운드리 시설을 증설하고, TSMC와 협력하겠다고 한 것은 엔비디아의 공급망에 위협을 가할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현재 TSMC와 파운드리 계약을 맺고 있으며, TSMC의 생산 능력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샘 올트먼의 투자 계획이 TSMC의 우선순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올트먼의 계획에 대해 현실성이 떨어진다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어째든 엔비디아는 샘 올트먼의 투자 계획에 대응하기 위해 자사의 기술력과 혁신력을 강화하고, 고객들의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고, 공급망의 안정성과 유연성을 확보하고, 경쟁력 있는 가격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정부와 규제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파트너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사회적 책임과 윤리를 준수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로이터에 의하며 엔비디아는 고객사 요청에 따라 맞춤형 AI반도체를 설계하는 새 사업부를 구축하고 제품 개발을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아래 엔비디아에 대한 포스팅도 참고 바랍니다.

 

 

CES 2024에서 공개된 엔디비아(NVIDIA)의 흥미로운 공개: 슈퍼 GPU, 게임 업데이트 및 클라우드 혁신

1. CES 2024에서 엔비디아(NVIDIA)가 대대적으로 공개: 그래픽과 AI의 융합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4가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함에 따라 기술계는 기대감으로 들끓고 있습니다. 그래픽 처리 분야의

global-investment.tistory.com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

AI반도체 시장은 AI 서비스의 확산과 발전에 따라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올해 AI반도체 시장은 553억 달러 (약 72조원) 규모로 예측되며, 이는 지난해 대비 25% 성장한 것입니다.

또한 오는 2027년에는 1120억 달러 (약 146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2023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2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AI반도체 시장의 성장은 미국을 비롯한 기술 선도국이 AI반도체를 미래 신산업의 핵심동력으로 주목하고 있으며, 데이터센터와  엣지 디바이스로 세분화되는 중입니다. AI반도체 시장은 엔비디아, 인텔, 구글, 퀄컴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프로세싱인메모리 (PIM) 기술로 AI반도체 시장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AI반도체 시장은 AI의 미래를 결정할 핵심 기술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