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경제65 미국 7월 소매판매 지수 상승과 주식시장 상승 2024.8.15일 미국 7월 소매판매 발표가 있었습니다. 소매판매와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발표 후 주식시장은 상승하였습니다. 미국 7월 소매판매 지수와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와 주식시장 반응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1. 미국 7월 소매판매 지수2024년 7월, 미국 상무부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1.0% 증가한 7,097억 달러에 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인 0.3% 증가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여전히 강력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소매판매 지수는 미국 경제의 주요 지표 중 하나로, 소비자 지출이 전체 경제 활동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경제의 건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소매판매의 증가는 경기 침체 우려를 완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 2024. 8. 16. 미국 2024.7월 CPI와 CORE CPI 현황 및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2024.8.14일 미국 7월 CPI와 CORE CPI 발표가 있었습니다. 미국 7월의 CPI와 근원 CPI 현황 및 평가에 대하여 살펴보고 향후 FED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7월 CPI 및 Core CPI 현황2024년 7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9% 상승했으며, 이는 지난 3월 이후 최저치입니다. 전월 대비로는 헤드라인 CPI가 0.2% 상승하여 전월의 0.1%에서 소폭 상승했습니다. Core CPI(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물가지수) 역시 전월 대비 0.2% 소폭 상승하였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는 전월 3.3% → 3.2%로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2. 주요 품목별 변화7월 CPI .. 2024. 8. 15. 미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 은행 총 여신증가율과 경기침체 최근 미국의 향후 경기둔화 가능성에 대하여 많은 이야기들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미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 은행 총 여신증가율과 경기침체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 현재, 미국 경제는 다양한 지표들을 통해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 은행 총여신증가율 , 그리고 경기침체와 S&P500 지수 간의 상관관계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관심사입니다. 1.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미국의 가계부채는 GDP 대비 비율로 자주 분석됩니다.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기준 미국의 가계부채는 GDP의 71.5%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2023.4분기의 75.0%에서 약간 감소한 수치입니다.가계부채비율은 꾸준히 하락하고 있습니다. 2007년 금융위.. 2024. 8. 7. 2024년 7월 일본 금리 인상, 엔케리 청산과 글로벌주가 하락 2024년 7월 31일, 일본은행이 금리를 인상하면서 글로벌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본의 금리 인상 배경, 엔케리 트레이드와 미국과 일본의 금리스프레드, 그리고 글로벌 주가 하락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일본의 금리 인상 배경일본은행 총재 우에다 가즈오는 경제 및 인플레이션 데이터가 예상과 일치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금리 인상을 결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정책금리는 0.25% 정도를 유지하도록 결정하고 장기국채 매입의 감액에 대해서는 월간 국채매입 예정액을 원칙적으로 매 분기4,000억엔 정도씩 감액하여 2026년 1~3월에 3조 엔 정도로 하는 계획을 결정하였습니다. 일본은 장기간의 저금리 정책을 유지해왔으나, 최근 경제 상황이 변화하면서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 2024. 8. 6. 이전 1 2 3 4 5 ··· 17 다음